“국민안전”이 정부의 주요 국정전략임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인 인력·예산 투자 (치안인력 증원, CCTV 설치, 캠페인 강화 등) 및 기관별 범죄예방활동만으로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범죄예방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발생 범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관계기관간 정보를 공유, 협업하여 국민에게 실효성 있는 범죄예방을 위한 과학적인 범죄분석체계 확립을 통하여 선제적 예방 중심의 형사사법체계 강화할 수 있는 지능적 시스템이 필요하며, 범죄정보, 행정사회정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관계기관이 공유하여 교육, 수사, 범죄자 사후 관리 및 피해자·가해자의 정상적인 사회 복귀 실현을 위한 국민정부지방간 긴밀한 공동의 협업 시스템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두가지 관점의 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적인 범죄분석 기반 시스템 구축과 범죄 그래프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범죄분석체계 확립 및 관계기관간 범죄예방 협업체계 구성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 지능형 범죄예방 분석시스템 >
농협은행 고객행복센터 및 전 영업점에서 고객상담에 필요한 업무 지식을 관리하고 공유하는 지식관리 시스템을 개선하였습니다. 지식 생성, 관리, 검색 등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지식 컨텐츠 생성 시, 업무 분야와 속성에 따라 구체적으로 관리되도록 하여 Knowledge-Graph 기반의 지식베이스로 변환 저장합니다. 이는 자연어 컨텐츠를 시스템이 이해 가능한 형태(machine readable)의 지식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 기반 지식 자동 추출도 적용하였습니다.
< 지능형 KMS 시스템 UI/UX >
기존의 지식관리 시스템은 고객 상담을 위해 필요한 업무 지식을 생산,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은행 상담사 또는 영업점 직원들 간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 고객들의 다양한 디지털 채널 사용이 많아 짐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의 서비스 요구가 지속적 증가하고 있고,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해서는 별도의 AI 기반 지식 데이터구축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존 지식 컨텐츠와 AI 기반 지식 데이터는 형태와 구조가 서로 상이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기에는 동일한 정보를 유지하기 어렵고, 중복된 지식 생성, 관리 및 활용으로 여러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는 상태입니다. 농협 은행에서는 10년 이상 사용한 노후화된 지식관리 시스템을 최신 인공지능 기술 트렌드에 부합하는 지능형 지식관리 시스템으로 개편하여, 직원들 간 상담 지식정보 관리 및 공유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지식 데이터를 동시에 생성 관리함으로써, 지식 컨텐츠의 관리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지능형 KMS 시스템 개요 >
< 안전먹거리 질의응답 시스템 목표 구성도 >
< 안전먹거리 질의응답 UI/UX >
특허청이 보유한 지식재산권 정보를 중심으로 타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이 보유 중인 다양한 비즈니스 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정보채널을 구축하고, 중소기업 및 창업기업 등 기업 종사자들이 빠르고 편리하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사용자 관점의 편의 기능을 제공하였습니다.
< 맞춤형 IP-Biz 정보공유 플랫폼 구성도 >
< 특허동향/기술/시장 분석 서비스 UI/UX >